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술과 과학이 급격한 속도로 변화되며 발전되고 있다. 특히 수많은 형태의 직업들이 현존하면서 진화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빠르게 변화되는 직업 중에서 경험하며, 알고 있는 직업과 직장들은 매우 극소수라서 선택의 폭도 적다.
현대 산업시대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며 기술이 성장하고 있다. 로봇, 인공지능, IT,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혁신적인 서비스 기술 등의 발달로 사라지는 또는 새롭게 생기는 직업도 다양하다. 변화에 적응하기 전에 새로운 것이 계속적으로 나온다.
4차 산업혁명 기술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큰 두려움을 주는 것은 인공지능분야다. 인공지능과 관련한 논쟁의 핵심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것인가, 아니냐이다.
알파고는 그 사이에 알파고 제로로 진화를 하였다. 그러나 현재 인공지능 로봇의 경우 복잡한 계산처럼 인간에게 어려운 것은 잘하지만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잘하는 수준의 단계는 아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결점과 한계를 빠른 속도로 극복하고 있으며, 인간의 역할을 인공지능과 로봇이 대체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의 현재 젊은이들이 희망하는 직장도 대기업에서 공기업으로 그리고 안정성, 수익성, 흥미 등 다양한 요소들이 직업선택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 중에서 획기적인 형태의 플랫폼, IT의 발전, 현대인들의 가치관과 인식의 변화는 새로운 ‘직업 뉴노멀’을 만들고 있다.
앞으로의 미래와 현대는 더욱더 평생직장은 사라지고 잦은 이직과 비정규직, 임시직 등 고용의 형태는 불안해질 것이다. 평생교육을 통한 자기계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전쟁과 같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불안해하고 수익에 대한 고민을 계속적으로 하게 될 것이다.
디지털 노마드 시대 속에서 사이드 프로젝트, 패시브 인컴, 파이프라인 만들기는 본업을 유지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남기 위한 현대의 모든 직장인들의 열정과 노력의 결과물이 되었다. 또한 끊임없이 도전하고 빠르게 적응하며 정보의 홍수 속에서 나에게 맞는 정보를 신속하게 찾는 노력이 필요한 시대이다.
'직장커리어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마드 시대의 인공지능의 역습 (0) | 2021.04.08 |
---|---|
본업과 사이드 프로젝트 (0) | 2021.03.17 |
노마드적 모빌리티(Mobility) (0) | 2021.03.01 |
디지털 노마드의 변화로 인한 사회적 영향 (0) | 2021.02.26 |
네트워크 사회와 디지털 노마드 (0) | 2021.02.22 |